바른성장 바로 알기

성장 질환 정보

성조숙증

소개

여아의 사춘기는 10세 경 유방이 발달하는 것으로 시작하고, 남아는 12세 경에 고환이 커지면서 시작됩니다.
성조숙증은 여아에서 만 8세 이전, 남아에서 만 9세 이전에 이차성징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.
성조숙증은 여아에서 남아에 비하여 5-10배 많습니다.

성조숙증은 이차성징의 조기 발현과 함께 빠른 골 성숙으로 인해 최종 성인키의 감소, 심리사회적 문제나 행동 문제 등이 동반 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됩니다.

증상원인

여아의 경우, 환자의 80-95%가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성조숙증입니다.

남아의 경우, 환자의 50%에서 원인 질환이 발견됩니다.

- 뇌종양, 선천성 뇌기형, 수두증, 뇌염 및 뇌농양, 갑상샘 저하증, 난소 및 고환이나 부신의 질환, 성호르몬이나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약물 등이 성조숙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특정 식품, 특히 콩류 식물에 여성호르몬과 유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, 이러한 물질이 사춘기 시작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.

여러 가지 환경 호르몬이 사춘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, 아직은 인과관계가 확실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습니다. 따라서 식이요법으로 성조숙증이 예방되지는 않으며, 특정식품에 대한 과도한 염려 및 조절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.

비만이 심한 어린이에서 사춘기 진행이 빠른 경향이 있으나 비만한 어린이라고 해서 모두가 사춘기가 빠른 것은 아니며, 비만하지 않은 아이에서도 성조숙증이 발생하기도

진단과 검사
병력청취 및 진찰

- 이차성징이 나타난 시기, 진행속도, 원인 질환, 성호르몬 노출 유무 등을 확인하며, 신체 성장과 성성숙의 진행 정도를 평가합니다.

방사선 검사

- 방사선 촬영을 하여 골연령을 측정하고, 호르몬 검사(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자극검사)를 합니다.

- 뇌 MRI 검사나, 복부, 골반, 고환 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.

- 처음 검사 할 때에는 치료를 요하는 단계가 아니었다 하더라도 수개월 만에 치료가 필요한 단계로 진행 할 수 있어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.

치료

기질적인 원인이 밝혀졌다면 각 원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.

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경우(특발성 성조숙증)

- 사춘기 진행을 억제하는 약제인 성선자극호르몬작용제 효능제(성호르몬 억제제)를 3-4주 간격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주사로 맞게 됩니다.

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면 처음엔 잘 크는 것 같지만 골연령이 빨라져 사춘기가 정상으로 시작되는 아이에 비해 성인키는 오히려 작을 수 있습니다. 성조숙증을 치료하면 골연령이 빨라지는 것을 조절하여 성인키가 작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, 정신적 어린 상태에서 사춘기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습니다.

꾸준한 치료가 중요하며, 불규칙적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오히려 사춘기 발현을 자극할 수가 있습니다. 치료 기간은 통상 2~5년이며 진단 받았을 때의 연령과 골연령이 진행된 정도에 따라 치료기간이 달라집니다. 치료 종료 시점은 대개 여아는 11세 전후, 남아는 12세 전후이지만, 개인에 따라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합니다.

가능한 한 일찍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.